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형살의 모든 것을
한번에 모든 정보 모아모아 풀어보겠습니다
형살 너무 너무 많아서
정리하는데만 한참 걸릴 거 같은데
노력해서 정리한만큼 재밋게 읽어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형 집행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형살(刑殺)
형의 종류를 나눌 때 간단하게 보아서
삼형과 육형 그리고 자묘형, 자형으로 나누고
나타나는 성격에 따라서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지세지형(持勢之刑),
마지막으로 자형까지 있습니다
○ 형의 형태에 따라 나눌 경우
삼형(三刑) | 육형(六刑) | 자형(自刑) | 자묘형 |
인사신(寅巳申), 축술미(丑戌未) | 인사(寅巳), 사신(巳申), 인신(寅申), 축술(丑戌), 축미(丑未), 술미(戌未) |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 | 자묘(子卯) |
○ 형의 성격에 따라 나눌 경우
구분 | 무은지형 | 무례지형 | 지세지형 | 자형 |
형살 | 축술미(丑戌未) | 자묘(子卯) | 인사신(寅巳申) | 진오유해(辰午酉亥) |
성격 | 이해타산적, 고집, 고독 은혜를 모름, 재물 욕심 | 가족간 불화, 까탈스럽고 포악 | 자신감과 비굴함, 성격이 급합, 저돌적 | 자립심 부족, 용두사미, 우울증, 변덕 |
보기 쉽게 표로 나누어 두었습니다
각각을 하나씩 전체적으로 훓고
필요하면 따로 포스팅을 해서 구체적으로 다루겠습니다
삼형과 육형, 작용조건과 원리
삼형은 육형과 같이 보면 좋아서 묶어서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육신에 해가 있을 수 있는 인사신 삼형을 셋으로 나누면
인사, 사신, 인신 이렇게 육형의 3가지로 나뉘고
축술미를 셋으로 나누면 축미, 축술, 술미로 나뉩니다
삼형이 성립하기 위해선 행운을 포함하여
3가지 글자가 사주원국에 있어야 하며
합이나 극을 당할 경우 형의 작용이 정지됩니다
인신 형의 경우 충과도 같이 작용하게 되는데
충의 효과를 먼저 보고 형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만큼 인신충, 형이 겹쳐서
그 작용력이 더 큰 거 같습니다
특히 형을 당해있는 상태에서 충이 들어오면
그에 대한 흉화를 더 커지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행운에서의 영향은 일지에만 미치게 되는데
합형충해파로 연결된 경우 영향을 받게 됩니다
또한 삼형, 육형은 충과 달리 떨어져 있어도 작용됩니다
- 인사신 형의 건강문제
인사신 형 같은 경우는 건강도 조심을 해야하는데
인목이 폐, 간, 쓸개, 근육, 팔, 다리,신경계, 동맥을
사화는 심장 등 순환계열, 혈압, 편도, 치아, 항문을
신금은 폐, 근골격계, 치아, 대장 등을 나타내므로
이를 잘보고 건강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寅)목이 일지에 있을 경우 사(巳)운이 오게되면
정서불안, 조현병, 신경쇠약을 겪을 수 있고
신(申) 운이 오면 견통, 요통, 뼈이상,
치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사(巳)화가 일지에 있을 경우 인(寅)운이 오게되면
황달증상, 내분비질환, 피로함을 겪을 수 있으며
신(申)운이 오면 정력감퇴, 코질환,
피부노화를 겪을 수 있습니다
신(申)금이 일지에 있을 경우 인(寅)운이 오게되면
편두통, 안구돌출, 탈모를 겪을 수 있고
사(巳)운이 오면 음욕, 생식기 질환,
근육마비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인사(寅巳)형이 있을 경우 신(申)운이 오면
골격계질환, 대장, 피부질환, 폐질환, 정신분열증을
인신(寅申)형에 사(巳)운이 오게되면
순환기질환, 구강질환, 시력저하, 심장 및
소장에 이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사신(巳申)형에 인(寅)운이 오게되면
신경계 질환, 간장질환, 임파선, 갑상선, 안질환
요통의 질환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지세지형과 무은지형
지세지형에 해당하는 인사신 형의
두글자씩만 존재해도 그 영향을 미치며
자신의 세력을 믿고 자신감으로 저돌적 행동을 보이며
강약약강의 비굴한 면도 가지고 있습니다
무은지형에 해당하는 축술미 형 또한
두글자씩만 존재해도 그 영향이 있으며
냉정하고 계산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재물에 대한 욕심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고립되고 고독하게 외로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형살에서도 개고입고 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사고의 충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충과 마찬가지로 연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지와 삼형이 되는 부분이 개고의 1순위가 되며
해당 없다면 원형이정에 따라 개고가 시행됩니다
이러한 단점과 위험들을 잘 알고 컨트롤 하여
자신의 사주를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묘형과 자형
자묘형과 자형의 경우 삼형과 육형과는 달리
사주상 글자가 붙어있어야 작용을 합니다
연지는 마찬가지로 특별한 상황이 아닐 경우
행운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자묘형, 무례지형
자수와 묘목이 만나게 되면
묘목의 뾰족함이 극대화됩니다
물로만 구성된 자수가 나무로만 구성된 묘목을
생해주는 작용을 해서 그 까다로움을 극대화시키고
의타심이 작용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됩니다
무례지형이라는 이름과 어울리게도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면서도 자기잘난 척을 하며
까탈스럽고 무례하게 굴어서 주변에 있는 사람을
힘들게하는게 자묘형의 특징입니다
- 자형
원래 십이지신에 같은 글자가 오게되면
복음이라 하여 수성을 해야되는
모두 조심해야하는 운에 해당되나
자형이 방합과 삼합의 기능적 구조에서
파생됨에 따라 진오유해를 다룹니다
자형은 스스로 형벌을 내린다는 의미처럼
타인의 공격에 대한 방어적인 심리가 강하고
외골수적이며 편파적인 특징을 가지게되어
이로인한 강박과 불안감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게하고 스스로를 어렵게 만듭니다
또한 내성적인 모습으로 인해
시도에 비해 결과가 좋지 않은 특징을 가집니다
각 자형을 살펴보면 진진자형, 진진병존의 경우
매정하며 이기적인 면모를 보이게 되고
냉정한 모습을 보임으로 고독을 자처하게 되고
주변의 덕을 보지 못하며 스스로 고립시키게 됩니다
주변과 자신의 고민을 공유하여야
이로인한 흉을 피할 수 있습니다
오오자형, 오오병존의 경우 자신의 주장이 강하고
다혈질에 잘난 척을 하며 극단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여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도화의 기운으로 타인의 이목을 끌고
강한 활동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이목을 끄는 직업의 재능을 보이기도 합니다
유유자형, 유유병존의 경우 민감, 예민하며 욱하고
신경질을 부리며 두통을 가지기도 합니다
날카롭고 호불호가 강해 타인과 관계가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칼이나 기계에 다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해해자형, 해해병존의 경우 큰 바닷속에 갖히는 듯한
그러한 모습을 상상하면 됩니다
생각이 그곳에 갖혀버리니 고독하고 우울하기 쉽고
게으르며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시기질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창의성과 예술적인 기질로 발현될 수 있으니
예술적인 영역으로 풀어내면 좋을 것입니다
성립될 경우 안 좋을까?
사주원국에 형이 있는 경우
무조건 나쁘게 볼 필요는 없습니다
사주구성이 좋고 신강할 경우에
공직, 법조계, 검경계열 등 검을 쓰는 업에서
크게 성공을 할 수 있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고
합격, 승진운으로 작용하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작용하는 이유는 다툼과 투쟁이 있는
성향으로 형이 작용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런 공격성을 공격성이 있는 직업으로 풀거나
안전한 공직에 머무는 것이 갑자기 직업을 잃는
일을 피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다만 사주팔자가 좋지 않게 흘러갈 경우
사고수도 조심해야하며 형살이라는 이름처럼
형에 관련된 일에 얽힐 수 있으며
형살이 사주구성에 있다가 충운이 와서 깨질 경우
오히려 시험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를 미리 알고 피하거나
개운할 방법을 찾는 것이 지혜롭다고 생각됩니다
자신의 사주를 보다보면
낙담되는 경우가 많을 거 같습니다
내 사주상 형살이 있고 신약한데
그럼 어쩌지 싶은 생각도 들거라 생각합니다
형살 때문에 불운해질 거 같다면
그만큼 더 노력을 해야하는구나 마음을 다지고
마음의 씀을 더 크게하며 이상한 곳으로 향하는
마음을 다잡는 노력을 해가면 됩니다
사주를 잘 활용하는 길은 점을 친걸로 생각하고
당연히 일어날 어쩔 수 없는 일인거처럼
낙담하라는 것이 아닌
자기 상황을 직시하고 자기객관화를 하여
어려움을 피해가라는 것입니다
어려움에 무너지지 마시고
더 좋은 길들을 찾아가는 노력을 멈추지 않길
그로인해 돌아오는 값진 보석을 얻게되길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오늘도 저의 포스팅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합충형해파(合沖刑害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지(支地) 파살(破殺)의 원리 및 작용조건, 육파(六破) (1) | 2024.11.13 |
---|---|
지지(支地)의 해살(害殺)의 원리, 작용조건, 육해(六害) (0) | 2024.11.12 |
묘유충(卯酉沖), 인신충(寅申沖)의 원리와 작용 (0) | 2024.11.10 |
자오충(子午沖), 사해충(巳亥沖)의 원리와 작용 (0) | 2024.11.09 |
사고(四庫)의 충(沖), 개고입고, 축미(丑未)충, 진술(辰戌)충 (4) | 2024.11.08 |